본문 바로가기
IT

Claude Code용 설계 패턴 md 파일

by 메타인지 월드 2025. 9. 20.
반응형

활용 용도

에이전트 코딩 툴인 Claude Code CLI 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설계 패턴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유사한 분야에 아래의 md 파일을 활용해서 개발에 적용하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설계 패턴 설명

🎯 MCMP (Modular Content Management Pattern)

왜 이 이름인가?

  1. "Modular": 카테고리별 독립 모듈화 핵심
  2. "Content": 스니펫 대신 일반 컨텐츠로 추상화
  3. "Management": 검색, 필터링, CRUD 기능 포함
  4. "Pattern": 재사용 가능한 설계 템플릿

🔄 다른 앱에 적용 예시

1. 레시피 앱 (Recipe Management)

text
 
src/
├── components/          # UI 컴포넌트
├── data/               # 데이터 레이어
│   └── recipes/        # 요리 카테고리별 모듈
│       ├── korean.js   # 한식 레시피
│       ├── italian.js  # 이탈리안 레시피
│       └── [cuisine].js
├── hooks/              # 커스텀 훅
└── utils/              # 유틸리티

레시피 데이터 구조:

javascript
 
{
  title: "비빔밥",
  cuisine: "korean",      // 카테고리
  ingredients: ["밥", "고추장", "나물"],  // 태그 역할
  instructions: "...",    // 코드 역할
  prepTime: "20분",
  difficulty: "medium"
}

2. 강의 관리 앱 (Course Library)

text
 
data/courses/
├── javascript/         # JS 강의
├── python/             # Python 강의
└── [subject].js        # 새 과목

강의 데이터:

javascript
 
{
  title: "React Hooks 심화",
  subject: "javascript",
  content: "useEffect의 의존성 배열...",  // 강의 내용
  tags: ["react", "hooks", "advanced"],
  duration: "15분",
  level: "intermediate"
}

3. 제품 카탈로그 (E-commerce)

text
 
data/products/
├── electronics/        # 전자제품
├── clothing/          # 의류
└── [category].js

제품 데이터:

javascript
 
{
  name: "iPhone 15 Pro",
  category: "electronics",
  description: "최신 모델...",
  specifications: ["6.1인치", "A17 Pro"],  // 태그 역할
  price: 1299000,
  rating: 4.8
}

🏗️ 범용 아키텍처 템플릿

MCMP 기본 구조

text
 
src/
├── components/              # 공통 UI 컴포넌트
│   ├── ContentCard.jsx      # 카드 컴포넌트
│   ├── SearchBar.jsx        # 검색 UI
│   └── ModalViewer.jsx      # 상세 보기
├── data/                    # 컨텐츠 레이어
│   ├── content/             # 카테고리별 컨텐츠
│   │   ├── [category].js    # 동적 카테고리
│   │   └── index.js         # 중앙 오케스트레이터
│   └── types/               # 데이터 타입 정의
├── hooks/                   # 비즈니스 로직
│   ├── useContentSearch.js  # 검색 훅
│   └── useContentFilter.js  # 필터링 훅
├── services/                # 외부 연동
│   └── ContentService.js    # API 추상화
└── utils/                   # 공통 유틸리티
    ├── idGenerator.js       # ID 생성기
    └── validator.js         # 데이터 검증

범용 데이터 스키마

javascript
 
// 모든 컨텐츠 타입의 공통 구조
export const ContentSchema = {
  id: string,              // 자동 생성 ID
  title: string,           // 필수: 제목
  category: string,        // 필수: 카테고리
  content: string,         // 필수: 메인 컨텐츠
  tags: string[],          // 필수: 검색용 태그
  metadata: {              // 선택: 카테고리별 메타데이터
    [key: string]: any
  },
  createdAt: Date,         // 선택: 생성일
  updatedAt: Date          // 선택: 수정일
};

🔧 구현 템플릿 (Starter Kit)

1. 중앙 오케스트레이터

javascript
 
// data/content/index.js
export const contentCategories = {
  // 앱별로 카테고리 정의
  // javascript: "JavaScript Snippets",
  // recipes: "Korean Recipes"
};

export const categoryImports = {};

// 동적 카테고리 로드
export const loadCategory = async (category) => {
  const loader = categoryImports[category];
  if (!loader) throw new Error(`Category ${category} not found`);
  
  return await loader().then(module => module.default);
};

// 모든 컨텐츠 로드
export const loadAllContent = async () => {
  const allContent = [];
  for (const [category, loader] of Object.entries(categoryImports)) {
    try {
      const content = await loader();
      allContent.push(...content.map(item => ({
        ...item,
        category,
        id: `${category}-${Date.now()}-${Math.random().toString(36).substr(2, 9)}`
      })));
    } catch (error) {
      console.warn(`Failed to load ${category}:`, error);
    }
  }
  return allContent;
};

2. 범용 검색 훅

javascript
 
// hooks/useContentSearch.js
import { useState, useMemo, useCallback } from 'react';

export const useContentSearch = (initialContent = []) => {
  const [searchTerm, setSearchTerm] = useState('');
  const [selectedCategory, setSelectedCategory] = useState('all');
  
  const filteredContent = useMemo(() => {
    return initialContent.filter(content => {
      // 검색 매칭
      const matchesSearch = !searchTerm || (
        content.title.toLowerCase().includes(searchTerm.toLowerCase()) ||
        content.tags.some(tag => 
          tag.toLowerCase().includes(searchTerm.toLowerCase())
        ) ||
        content.content.toLowerCase().includes(searchTerm.toLowerCase())
      );
      
      // 카테고리 매칭
      const matchesCategory = selectedCategory === 'all' || 
        content.category === selectedCategory;
        
      return matchesSearch && matchesCategory;
    });
  }, [initialContent, searchTerm, selectedCategory]);
  
  const clearSearch = useCallback(() => {
    setSearchTerm('');
    setSelectedCategory('all');
  }, []);
  
  return {
    searchTerm,
    setSearchTerm,
    selectedCategory,
    setSelectedCategory,
    filteredContent,
    clearSearch,
    hasResults: filteredContent.length > 0
  };
};

3. 카테고리별 설정

javascript
 
// config/contentConfig.js
export const ContentConfig = {
  // 스니펫 앱용
  snippets: {
    categories: {
      javascript: { icon: "⚡", color: "#f7df1e", label: "JavaScript" },
      python: { icon: "🐍", color: "#3776ab", label: "Python" }
    }
  },
  
  // 레시피 앱용
  recipes: {
    categories: {
      korean: { icon: "🇰🇷", color: "#ce1126", label: "한식" },
      italian: { icon: "🇮🇹", color: "#009246", label: "이탈리안" }
    }
  },
  
  // 강의 앱용
  courses: {
    categories: {
      javascript: { icon: "📚", color: "#f7df1e", label: "프론트엔드" },
      dataScience: { icon: "📊", color: "#2e86ab", label: "데이터 사이언스" }
    }
  }
};

🚀 적용 체크리스트

Phase 1: 기본 설정

  • data/content/ 폴더 구조 생성
  • 첫 번째 카테고리 데이터 파일 작성
  • 중앙 오케스트레이터 구현
  • 기본 검색/필터링 훅 작성

Phase 2: UI 통합

  • ContentCard 컴포넌트 구현
  • SearchBar 컴포넌트 구현
  • ModalViewer 컴포넌트 구현
  • 카테고리별 스타일링 적용

Phase 3: 고급 기능

  • 즐겨찾기 시스템 추가
  • 로컬 스토리지 연동
  • 에러 바운더리 구현
  • 접근성 개선

Phase 4: 확장

  • 새 카테고리 추가 프로세스 테스트
  • API 서비스 레이어 구현
  • 성능 측정 및 최적화

📋 앱별 커스터마이징 가이드

 
앱 유형데이터 필드UI 특징추가 기능
스니펫 code, language 코드 하이라이팅 복사 버튼
레시피 ingredients, prepTime 이미지 중심 영양 정보
강의 duration, level 비디오 임베드 진행률 표시
제품 price, rating 가격 강조 장바구니

🎖️ MCMP의 핵심 가치

개발자 입장

빠른 프로토타이핑: 템플릿으로 80% 구현 완료

일관된 구조: 팀원 간 코드 이해 쉬움

확장 용이: 새 기능 추가 시 예측 가능한 패턴

사용자 입장

빠른 검색: 통합 검색으로 즉시 찾기

직관적 탐색: 카테고리별 체계적 구성

성능 우수: 지연 로딩으로 빠른 응답

비즈니스 입장

비용 절감: 재사용 가능한 설계로 개발 비용 ↓

유지보수성: 모듈화로 버그 수정 시간 ↓

스케일링: 새로운 컨텐츠 타입 쉽게 추가

MCMP 패턴을 사용하면 어떤 컨텐츠 관리 앱이든 빠르고 확장 가능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설계 패턴 파일

DESIGN-PATTERN.md 

# 최적 설계 패턴

> 확장성, 유지보수성, 유연성을 고려한 코드 스니펫 관리 앱 설계 가이드

## 📋 목차

1. [전체 아키텍처](#전체-아키텍처)
2. [모듈화 전략](#모듈화-전략)
3. [데이터 관리](#데이터-관리)
4. [UI/UX 패턴](#uiux-패턴)
5. [성능 최적화](#성능-최적화)
6. [확장성 고려사항](#확장성-고려사항)
7. [최적 관행](#최적-관행)

---

## 🏗️ 전체 아키텍처

### 계층별 구조

```
src/
├── components/          # 재사용 가능한 UI 컴포넌트
├── data/               # 데이터 레이어
│   └── snippets/       # 카테고리별 스니펫 모듈
├── hooks/              # 커스텀 React 훅
├── utils/              # 유틸리티 함수
└── styles/             # 전역 스타일
```

### 핵심 설계 원칙

1. **관심사 분리**: UI, 데이터, 비즈니스 로직 분리
2. **단일 책임**: 각 모듈은 하나의 명확한 목적
3. **의존성 역전**: 인터페이스 기반 설계
4. **확장성 우선**: 새로운 기능 추가 용이

---

## 🧩 모듈화 전략

### 1. 카테고리별 파일 분리

**✅ 권장 구조:**
```javascript
// data/snippets/
├── index.js          // 중앙 오케스트레이터
├── javascript.js     // JavaScript 스니펫
├── python.js         // Python 스니펫
├── spring-boot.js    // Spring Boot 스니펫
└── [category].js     // 새 카테고리별 파일
```

**장점:**
- 독립적 관리 가능
- 병렬 개발 지원
- 충돌 최소화
- 로딩 성능 최적화

### 2. 동적 import 시스템

```javascript
// 카테고리별 지연 로딩
const categoryImports = {
  javascript: () => import('./javascript.js').then(m => m.javascriptSnippets),
  python: () => import('./python.js').then(m => m.pythonSnippets),
  // 새 카테고리 쉽게 추가 가능
};
```

**이점:**
- 초기 로딩 시간 단축
- 필요시에만 리소스 로드
- 번들 크기 최적화

---

## 📊 데이터 관리

### 1. 자동 ID 생성 시스템

**❌ 피해야 할 방식:**
```javascript
// 수동 ID 관리 (충돌 위험)
{ id: 17, title: "FastAPI", ... }
{ id: 18, title: "Pandas", ... }
```

**✅ 권장 방식:**
```javascript
// 자동 ID 생성
snippets.map((snippet, index) => ({
  ...snippet,
  id: `${category}-${index + 1}`,
  originalId: snippet.id // 필요시 보존
}))
```

**장점:**
- ID 충돌 완전 방지
- 카테고리별 자동 정렬
- 유지보수 부담 제거

### 2. 스니펫 데이터 구조

```javascript
// 표준 스니펫 객체 구조
{
  title: string,           // 필수: 스니펫 제목
  language: string,        // 필수: 프로그래밍 언어
  category: string,        // 필수: 카테고리 분류
  code: string,           // 필수: 코드 내용
  tags: string[],         // 필수: 검색용 태그
  description?: string,    // 선택: 상세 설명
  author?: string,        // 선택: 작성자
  createdAt?: Date,       // 선택: 생성일
  difficulty?: 'easy'|'medium'|'hard'  // 선택: 난이도
}
```

---

## 🎨 UI/UX 패턴

### 1. 모달 기반 상세 보기

**설계 근거:**
- 스니펫 수가 증가해도 성능 유지
- 전체 화면 활용으로 가독성 향상
- ESC 키, 클릭 외부 영역으로 직관적 닫기

```javascript
// 모달 상태 관리
const [selectedSnippet, setSelectedSnippet] = useState(null);

// ESC 키 핸들링
useEffect(() => {
  const handleEsc = (e) => {
    if (e.key === 'Escape') setSelectedSnippet(null);
  };
  if (selectedSnippet) {
    document.addEventListener('keydown', handleEsc);
    return () => document.removeEventListener('keydown', handleEsc);
  }
}, [selectedSnippet]);
```

### 2. 카드 기반 프리뷰

```javascript
// 프리뷰 카드 최적화
<div className="snippet-card">
  <h3>{snippet.title}</h3>
  <span className="language-badge">{snippet.language}</span>
  <pre className="code-preview">
    {snippet.code.split('\n').slice(0, 3).join('\n')}
    {snippet.code.split('\n').length > 3 && '\n...'}
  </pre>
  <div className="tags">
    {snippet.tags.map(tag => <span key={tag}>{tag}</span>)}
  </div>
</div>
```

### 3. 실시간 검색 및 필터링

```javascript
// 통합 검색 로직
const filteredSnippets = snippets.filter(snippet => {
  const matchesSearch =
    snippet.title.toLowerCase().includes(searchTerm.toLowerCase()) ||
    snippet.tags.some(tag => tag.toLowerCase().includes(searchTerm.toLowerCase())) ||
    snippet.code.toLowerCase().includes(searchTerm.toLowerCase());

  const matchesCategory = selectedCategory === 'all' ||
    snippet.category === selectedCategory;

  return matchesSearch && matchesCategory;
});
```

---

## ⚡ 성능 최적화

### 1. 코드 분할 (Code Splitting)

```javascript
// 카테고리별 청크 분할
const categoryImports = {
  javascript: () => import(
    /* webpackChunkName: "snippets-javascript" */
    './javascript.js'
  ),
  python: () => import(
    /* webpackChunkName: "snippets-python" */
    './python.js'
  ),
};
```

### 2. 로딩 상태 관리

```javascript
// 사용자 피드백 제공
const [loading, setLoading] = useState(true);
const [error, setError] = useState(null);

const loadData = async () => {
  try {
    setLoading(true);
    const data = await loadAllSnippets();
    setSnippets(data);
  } catch (err) {
    setError(err.message);
  } finally {
    setLoading(false);
  }
};
```

### 3. 메모이제이션 활용

```javascript
// 비싼 계산 결과 캐싱
const categoryCounts = useMemo(() => {
  return snippets.reduce((acc, snippet) => {
    acc[snippet.category] = (acc[snippet.category] || 0) + 1;
    return acc;
  }, {});
}, [snippets]);
```

---

## 🚀 확장성 고려사항

### 1. 새 카테고리 추가

**단계별 확장 방법:**

1. **새 스니펫 파일 생성**
```javascript
// data/snippets/golang.js
export const golangSnippets = [
  {
    title: "Go HTTP Server",
    language: "go",
    category: "golang",
    code: `package main...`,
    tags: ["go", "http", "server"]
  }
];
```

2. **중앙 레지스트리 업데이트**
```javascript
// data/snippets/index.js
export const snippetCategories = {
  // 기존 카테고리들...
  golang: "Go Language"  // 새 카테고리 추가
};

const categoryImports = {
  // 기존 import들...
  golang: () => import('./golang.js').then(m => m.golangSnippets)
};
```

### 2. 고급 기능 확장

**즐겨찾기 시스템:**
```javascript
// localStorage 기반 즐겨찾기
const [favorites, setFavorites] = useState(() => {
  const saved = localStorage.getItem('snippet-favorites');
  return saved ? JSON.parse(saved) : [];
});

const toggleFavorite = (snippetId) => {
  const newFavorites = favorites.includes(snippetId)
    ? favorites.filter(id => id !== snippetId)
    : [...favorites, snippetId];

  setFavorites(newFavorites);
  localStorage.setItem('snippet-favorites', JSON.stringify(newFavorites));
};
```

**카테고리별 설정:**
```javascript
// 카테고리별 메타데이터
const categoryConfig = {
  javascript: {
    icon: "🟨",
    color: "#f7df1e",
    description: "JavaScript & ES6+ features"
  },
  python: {
    icon: "🐍",
    color: "#3776ab",
    description: "Python scripts and frameworks"
  }
};
```

### 3. 데이터베이스 연동 준비

**추상화 레이어 설계:**
```javascript
// services/snippetService.js
class SnippetService {
  async loadAllSnippets() {
    // 현재: 정적 import
    // 향후: API 호출
  }

  async saveSnippet(snippet) {
    // 향후: POST /api/snippets
  }

  async deleteSnippet(id) {
    // 향후: DELETE /api/snippets/:id
  }
}
```

---

## 🎯 최적 관행

### 1. 코드 조직

**파일 명명 규칙:**
- `camelCase`: JavaScript 파일/함수명
- `kebab-case`: CSS 클래스명
- `PascalCase`: React 컴포넌트명

**폴더 구조 원칙:**
- 기능별 그룹핑 우선
- 공통 요소는 상위 레벨
- 최대 3단계 깊이 제한

### 2. 에러 처리

```javascript
// 포괄적 에러 처리
const ErrorBoundary = ({ children }) => {
  const [hasError, setHasError] = useState(false);

  useEffect(() => {
    const handleError = (error) => {
      console.error('Snippet loading error:', error);
      setHasError(true);
    };

    window.addEventListener('unhandledrejection', handleError);
    return () => window.removeEventListener('unhandledrejection', handleError);
  }, []);

  if (hasError) {
    return <div>스니펫을 불러오는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div>;
  }

  return children;
};
```

### 3. 접근성 (Accessibility)

```javascript
// 키보드 네비게이션 지원
const SnippetCard = ({ snippet, onClick }) => (
  <div
    className="snippet-card"
    onClick={onClick}
    onKeyDown={(e) => e.key === 'Enter' && onClick()}
    tabIndex={0}
    role="button"
    aria-label={`${snippet.title} 스니펫 보기`}
  >
    {/* 카드 내용 */}
  </div>
);
```

### 4. 테스트 가능한 설계

```javascript
// 순수 함수로 로직 분리
export const filterSnippets = (snippets, searchTerm, category) => {
  return snippets.filter(snippet => {
    const matchesSearch = snippet.title.toLowerCase().includes(searchTerm.toLowerCase());
    const matchesCategory = category === 'all' || snippet.category === category;
    return matchesSearch && matchesCategory;
  });
};

// 테스트 작성 용이
describe('filterSnippets', () => {
  test('should filter by search term', () => {
    const result = filterSnippets(mockSnippets, 'react', 'all');
    expect(result).toHaveLength(2);
  });
});
```

---

## 📈 확장 로드맵

### Phase 1: 기본 기능 (완료)
- ✅ 카테고리별 스니펫 관리
- ✅ 검색 및 필터링
- ✅ 모달 기반 상세 보기
- ✅ 자동 ID 생성

### Phase 2: 향상된 기능
- 🔄 즐겨찾기 시스템
- 🔄 개인 스니펫 추가/편집
- 🔄 다크 모드 지원
- 🔄 키보드 단축키

### Phase 3: 고급 기능
- 📋 백엔드 API 연동
- 📋 사용자 인증
- 📋 스니펫 공유 기능
- 📋 버전 관리

### Phase 4: 엔터프라이즈
- 📋 팀 협업 기능
- 📋 권한 관리
- 📋 API 문서 생성
- 📋 분석 대시보드

---

## 🏆 결론

이 설계 패턴은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 개발자 경험
- **빠른 개발**: 명확한 구조로 개발 속도 향상
- **쉬운 유지보수**: 모듈화로 버그 수정 간소화
- **확장성**: 새 기능 추가 시 기존 코드 영향 최소화

### 사용자 경험
- **빠른 로딩**: 코드 분할로 초기 로딩 최적화
- **직관적 UI**: 일관된 패턴으로 학습 비용 감소
- **안정성**: 포괄적 에러 처리로 안정적 동작

### 확장성
- **수평 확장**: 새 카테고리/기능 쉽게 추가
- **수직 확장**: 고급 기능으로 점진적 업그레이드
- **플랫폼 확장**: 웹, 모바일, 데스크톱 대응 가능

이러한 설계 패턴을 따르면 유지보수가 쉽고 확장 가능한 코드 스니펫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