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맥북으로 유튜브 핸즈온 영상 제작하는 완벽 가이드

by 메타인지 월드 2025. 9. 13.
반응형

별도의 유료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맥북 기본 기능만으로 전문적인 영상 제작이 가능합니다. QuickTime Player, 스크린샷 툴, iMovie를 활용하면 화면 녹화, 편집, 업로드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어 초보자도 손쉽게 핸즈온 영상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맥북에서 영상을 만들고 유튜브에 올리는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1. 동영상 캡처: QuickTime Player와 스크린샷 툴 활용하기

맥북에는 기본적으로 화면 녹화를 지원하는 두 가지 도구가 있습니다. 하나는 스크린샷 툴(Cmd + Shift + 5), 다른 하나는 QuickTime Player입니다.

  • 스크린샷 툴 (가장 간편한 방법)
    실행: Command + Shift + 5
    도구 선택: 전체 화면 녹화, 지정 영역 녹화
    옵션: 저장 위치, 타이머, 마이크, 마우스 클릭 효과
    녹화 시작: 기록 버튼 클릭
    중지: 메뉴 바 정지 버튼 또는 Command + Control + Esc
  • QuickTime Player (세부 설정에 유리)
    실행: 응용 프로그램 폴더 → QuickTime Player 실행
    메뉴: 파일 > 새로운 화면 기록
    설정: 마이크 선택, 마우스 클릭 하이라이트 추가
    녹화 시작: 전체 화면 또는 드래그한 특정 영역
    중지: 메뉴 바 정지 버튼 클릭

2. 동영상 편집: 무료 툴 iMovie 활용하기

녹화한 영상을 바로 유튜브에 올릴 수도 있지만, 간단한 편집만 더해도 완성도가 크게 올라갑니다. 맥북에 기본 제공되는 iMovie는 무료이면서 직관적인 편집 툴입니다.

  • 프로젝트 생성: iMovie 실행 → 새 프로젝트 → 동영상 선택
  • 영상 불러오기: 녹화된 영상 드래그 앤 드롭
  • 주요 기능: 자르기, 자막 추가, 음악/효과음 삽입, 전환 효과, 속도 조절
  • 내보내기: 공유 버튼 클릭 → 해상도 선택 후 저장

3. 유튜브 업로드: 영상 공유하기

편집을 마쳤다면 이제 유튜브에 업로드할 차례입니다.

  • 로그인: YouTube 접속 후 로그인
  • 업로드 메뉴: 상단 만들기(카메라+ 아이콘) → 동영상 업로드
  • 파일 선택: 영상 파일 드래그 또는 직접 선택
  • 정보 입력: 제목, 설명, 썸네일, 시청자층 설정
  • 공개 설정: 공개 / 비공개 / 일부 공개 → 게시

 

마무리

맥북 사용자라면 별도의 유료 프로그램 없이도 화면 녹화 → 편집 → 유튜브 업로드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간단한 화면 녹화부터 시작해 보세요. 작은 시도가 콘텐츠 제작의 첫걸음이 됩니다.

반응형